hinykorea
타운뉴스

尹 “국힘 떠나 백의종군, 김문수에 힘 모아달라”…

“대선 승리·자유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의 길”

노태우부터 MB까지 탈당…박근혜는 ‘제명’

윤석열 전 대통령이 17일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경선 참여를 위해 지난 2021년 7월30일 입당한 지 약 3년 10개월 만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존속될 것이냐, 붕괴되느냐 하는 절체절명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제가 대선 승리를 김문수 후보 못지않게 열망하는 것도 이번 대선에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려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자유민주주의 없이는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도, 국민 행복도, 안보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길지 않은 정치 인생을 함께하고 저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만들어 준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할 것”이라며 “동지 여러분께서는 자유 대한민국과 국민의힘을 더욱 뜨겁게 끌어안아 주시기 바란다. 각자의 입장을 넘어 더 큰 하나가 되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반드시 투표에 참여해 달라. 여러분의 한 표 한 표는 이 나라의 자유와 주권을 지키고 번영을 이루는 길”이라며 “저는 여러분과 늘 함께 하겠다”고 덧붙였다. 탈당에 따른 지지층 분열과 이탈을 최대한 막기 위한 메시지로 풀이된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국민의힘 측과 사전에 조율된 것으로 전해졌다.

구(舊)여권 관계자는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의 거취 문제, (탈당) 시기에 대해서 당과 캠프와 적절하게 소통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래서 오늘 결단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김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확정된 직후 통화를 갖고 거취를 포함해 모든 사안을 김 후보에게 일임하겠으니 결단해서 알려달라는 의중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특히 “대선 승리가 의리고 신의다”라는 취지의 입장을 밝히면서 오직 대선만을 생각하고 판단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현직 대통령의 탈당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제14대 대선을 앞두고 있던 1992년 9월 민자당을 탈당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사태’ 후 신한국당을 탈당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임기 4년 차에 아들 비리 의혹 등이 터지자 탈당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해였던 2007년 열린우리당을 탈당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사태로 여당이 분열되자 2017년 1월 새누리당을 탈당했다. 박 전 대통령은 탄핵 이후인 2017년 11월 제명됐다.

Related posts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까지…3대 이야기 다룬 소설 ‘꿈’ 출간

안지영 기자

“관세 못 버틴다”…미국 州정부·기업들 줄소송

안지영 기자

인도·파키스탄 무력충돌… 핵보유국간 ‘전면전’ 확전될까

안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