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기경단의 비밀투표 콘클라베 7일 시작…
새 교황을 뽑는 추기경단의 비밀투표 회의 콘클라베가 7일(현지 시각) 바티칸 교황 관저 내 시스티나 성당에서 막을 올린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달 21일 선종한 후 16일 만이다. 전 세계 80세 미만 추기경이 참가 대상으로, 올해는 133명이 바티칸에 모였다. 한국인으로는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유흥식(74) 추기경이 참가한다.
콘클라베는 참가자 모두가 교황 후보다. 추기경들은 투표용지에 차기 교황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의 이름을 써 낸다. 이런 식의 투표를 오전·오후 두 번씩 하루 4회(첫날은 오후 1회만) 거듭한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레 표가 모이고, 3분의 2 이상을 득표하면 교황으로 추대된다. 교황청은 시스티나 성당 굴뚝으로 연기를 피워 투표 결과를 알린다. 검은 연기는 교황이 뽑히지 않았다는 뜻이고 교황이 선출되면 흰 연기를 피운다. 20세기 이후 교황 선출엔 평균 3일이 걸렸다.
첫 남미 출신으로 그 어느 교황보다 개혁 성향이 강했던 프란치스코의 뒤를 이을 14억 가톨릭 신자의 지도자로 누가 뽑히느냐에 따라 긴박하게 흘러가는 세계 정세도 영향을 받으리라는 전망이 많다. 큰 관심 가운데 열리는 제267대 교황 선출 콘클라베의 ‘관전 포인트’를 다섯으로 정리했다.
◇절대 강자 이탈리아, 교황 자리 되찾을까
지난 47년간 교황의 출신국은 폴란드(요한 바오로 2세)·독일(베네딕토 16세)·아르헨티나(프란치스코)였다. 하지만 역대 교황의 국적을 보면 약 80%인 217명이 바티칸을 품은 이탈리아 출신이었다. 요한 바오로 2세 전임인 바오로 6세까지 이탈리아 출신은 51연속, 총 455년 동안 교황직을 차지했다. 이탈리아는 이번 콘클라베에서 교황 자리를 되찾기 위해 치열한 물밑 작전을 펼치고 있다고 알려졌다.
이탈리아 다음으로 많은 교황(16명)을 배출했음에도 그레고리오 11세(1370~1378) 이후 교황을 내지 못한 프랑스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까지 뛰면서 차기 교황을 노리고 있다. 프랑스 왕권이 교황권을 압도해 로마 교황을 프랑스 아비뇽에 유폐한 이른바 ‘아비뇽 유수(幽囚·1309~1378)’ 이후 프랑스 출신 교황은 나오지 못했다. 마크롱은 최근 몇몇 추기경을 만나 ‘되도록 프랑스인 추기경이 나와야 한다’는 뜻을 드러냈다고 알려졌다.
◇프란치스코의 유산, 이토록 다양한 추기경단
유럽의 ‘전통 강호’가 경쟁하는 상황은 비(非)유럽권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유럽 표가 갈리고 다른 대륙 출신에게 표가 결집할 경우 아프리카·아시아·미주 등 비유럽권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유산(遺産)인,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추기경단 구성이 이런 구도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큰 관심사다. 콘클라베에 참가하는 추기경은 133명 중 108명(81%)을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했다. 가톨릭 교세가 크지 않은 미얀마·몽골·라오스·르완다 같은 국가를 비롯해 아이티(카리브해)나 카보베르데(서아프리카) 같은 소국에서도 추기경이 나왔다. 그 결과 이번 콘클라베에선 역사상 가장 다양한 70국 출신 추기경이 투표를 한다. 2013년 프란치스코를 선출한 콘클라베 당시 추기경단 출신국은 48국이었다. 여러 매체는 추기경단의 다양성을 들어 사상 최초로 비근동 아시아 또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출신 교황이 탄생할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인기 때문인지 많은 추기경이 “프란치스코의 유산을 계승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프란치스코와 대립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간접적으로 비판한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단장을 비롯해 교황청 2인자인 국무원장이자 유력한 차기 교황 후보로 꼽히는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도 ‘전임의 뜻을 잇겠다’는 취지의 공개 발언을 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의 개혁 성향에 반발하는 추기경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미국의 레이먼드 버크 추기경은 동성 커플을 축복한다거나 낙태 여성을 용서할 수 있다는 프란치스코의 태도에 “교회가 방향을 잃었다”고 반발했다. 독일의 게르하르트 뮐러 추기경도 “정통파 교황이 선출되지 않는다면 교회가 두 갈래로 쪼개질 것”이라고 했다. 콘클라베에서 개혁파와 보수파 추기경이 각각 얼마나 결집할지가 결과를 가를 변수로 꼽힌다.
☞콘클라베 (conclave)
교황을 선출하는 추기경단 비공개 회의. ‘열쇠로 잠근 방’이라는 뜻의 라틴어 쿰 클라비(cum clavis)에서 유래했다. 바티칸 시스티나 경당(소성당)에 모인 추기경단은 투표 기간 바깥 출입이나 외부 연락을 할 수 없다. 추기경단 3분의 2 이상 찬성을 얻은 새 교황이 뽑히면 굴뚝에서 흰 연기가, 선출이 무산되면 검은 연기가 나온다. 교황이 선출될 때까지 투표를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