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넘기면 사퇴한 후보도 투표용지에 이름 남아
6·3대선이 4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의힘은 단일화 시점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선 후보 등록과 공식 선거운동 개시 등 대선 주요 일정이 임박한 만큼 단일화 시기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의힘이 당초 설정한 단일화 1차 데드라인은 7일이다. 공식 선거운동 시작일인 12일부터 바로 선거운동에 돌입하기 위해서는 7일에는 선거 공보물을 발주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전 총리 측의 줄다리기 속에 7일 전 단일화에 합의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2차 데드라인은 대통령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이다. 11일 이전에 어떤 후보로든 단일화가 이뤄지면 국민의힘 후보로 등록해 ‘기호 2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까지 단일화 합의가 불발되면 한 전 총리는 무소속 후보로 등록해야 하는 만큼 이후 단일화를 통해 한 후보가 최종 후보로 결정되더라도 ‘기호 2번’을 사용할 수 없다. 무소속 후보는 모든 정당 후보자의 기호 배정이 완료된 후 가나다순으로 기호를 받는다. 국민의힘의 선거자금 지원도 받지 못해 한 전 총리는 3억 원의 후보등록 기탁금부터 시작해 매일 수억 원의 선거 비용을 자력으로 감당해야 한다. 단일화 협상을 진행 중엔 한 전 총리는 선거 유세 등에도 국민의힘의 지원을 받을 수 없다.
20일엔 국외에 거주하거나 체류 중인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재외투표가 시작된다. 이번 대선의 재외투표는 20일부터 25일까지로 재외투표 시작 뒤에 단일화가 될 경우 수 만표의사표가 발생한다.
최종 데드라인으로는 국내 투표용지 인쇄일인 25일이 꼽힌다. 후보등록 기간에 등록한 후보는 모두 투표용지에 소속과 이름이 표기된다. 다만 25일 전에 단일화에 합의하면 투표용지의 사퇴한 후보 이름 옆에 ‘사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25일을 넘기더라도 대선 당일인 6월 3일 전까지는 한 명의 후보가 사퇴하는 방식의 단일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사전투표일(29~30일) 이후 단일화가 이뤄지면 무더기 사표 발생이 불가피하다. 또 투표용지에 ‘사퇴’가 표시되지 않는 만큼 단일화 효과가 크게 반감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