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마 선언 후보자 누구도 훈쾌히 받기 어려운 안 될 것”
더불어민주당은 11일 차기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오는 12일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국민참여경선’ 방식에 무게가 쏠린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인 이춘석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대선 후보를 선출할 경선 규칙을 정하기 위한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전부 논의를 마쳤다”면서도 “어떻게 결론을 냈다는 결과는 말씀드리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 예정자들의 뜻이 충분히 반영된 경선 룰을 만들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실 탄핵 정국에 의해 (조기)대선이 열렸고 시기적으로 촉박하다”며 “출마 선언한 네 분의 후보자 어느 누구도 흔쾌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안을 만들었다”며 “비난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모든 후보들이 불만을 갖는 안을 만드는 것이 저희 소명이라고 생각하고 그런 결론을 내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아직) 최종 의결은 하지 않았다. 최종 의결은 내일(12일) 오후 2시에 할 생각”이라고 부연했다.
특별당규위는 예비후보와 캠프 관계자들과 만나 해당 경선 규칙을 정한 이유 등을 설명하고 당원들로부터 의견을 청취하는 절차를 거쳐 이튿날인 12일 오후 2시 최종 의결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대략 방향은 내부적으로 그쪽(국민참여경선)으로 가는 것으로 정리했지만, 의결은 안 했다”며 “내일(12일) 확정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지사·김두관 전 의원 등이 공식 출마 선언을 마쳤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출마를 결정한 후 선언 시기를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별당규위는 지난 9일부터 이날까지 여러 차례 회의를 열고 ‘국민경선’,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놓고 논의를 이어왔다. 당원 주권 강화, 역선택 문제 보완 등 사안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선 19·20대 대선 과정에서 민주당이 채택했던 경선 방식인 국민경선은 선거인단으로 모집된 일반 국민과 대의원·권리당원에게 동일한 ‘1인 1표’를 보장한다. 반면 국민참여경선은 일반 국민 50% 이상·권리당원 50% 이하 투표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당심이 50%를 차지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후보를 정할 경우 불리하다고 판단, 별도의 선거인단 모집 없이 100% 일반 국민 투표로 후보를 뽑는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방식을 요구해왔다.
한편 이번 경선 규칙은 당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 및 당원 투표 절차를 거치면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