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ykorea
타운뉴스

우주에 9개월간 체류한 우주비행사 2명, 드디어 무사 귀환

왕복선 스타라이너의 헬륨 가스 누출과 추진기 고장 등 기술적 결함으로 발 묶여

지구 상공 400㎞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9개월간 머물렀던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2명이 무사히 지구로 돌아왔다.
18일, NASA 소속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와 수니 윌리엄스를 태운 스페이스X의 ‘드래건’ 캡슐이 이날 미국 플로리다주 탤러해시 인근 멕시코만 해상에 안전하게 착수했다. 캡슐은 낙하산을 펼쳐 속도를 조절하며 하강한 뒤 회수됐다.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지난해 6월 5일 미국 보잉사의 우주캡슐 ‘스타라이너’를 타고 ISS에 도착했으나, 스타라이너의 헬륨 가스 누출과 추진기 고장 등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8일 후 복귀할 예정이었던 일정이 287일간 연장됐다.
NASA는 안전상의 이유로 스타라이너에 이들을 다시 태우지 않은 채 무인 상태로 귀환 조치했고, 대신 두 우주비행사를 정기 순환·교대 임무와 연계해 데려오기로 했다.
그리고 최근 ISS에 임무 교대팀 크루-10이 승선하면서 두 사람은 지구로 복귀할 수 있었다.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장기 체류에도 긍정적인 태도로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퇴역 해군 대령 출신인 두 사람은 군 복무 시절의 장기 배치를 연상케 하는 이번 임무에 대해 “우주에서 더 오래 머무는 것에 개의치 않았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곧 텍사스주 휴스턴의 존슨 우주센터로 이동해 의료진의 정밀 검사를 받을 예정이다. 장기간의 우주 생활은 뼈와 근육, 혈액순환, 시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회복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위 사진은 플로리다주 연안 해상에 착수한 우주비행사들이 스페이스X 드래건 캡슐 내부에 앉아 있는 모습. 왼쪽부터 미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고르부노프, NASA 우주비행사 닉 헤이그와 수니 윌리엄스. 이들 중 윌모어와 윌리엄스는 지난해 6월 미 보잉사 우주캡슐 ‘스타라이너’를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8일 간의 일정으로 시험비행을 떠났다가 발이 묶여 약 9개월 만에 지구로 돌아왔다.
한편, 일각에서는 두 사람의 귀환이 지연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는 두 우주비행사의 조기 귀환을 제안했으나, 바이든 행정부가 정치적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NASA는 제한된 예산과 ISS 운영 인력 유지 필요성을 고려해 최적의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백악관도 두 사람의 귀환 직후 X(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구출하겠다는 약속을 지켰다”며 머스크와 NASA, 스페이스X의 노고를 치하했다.

Related posts

엔비디아, 아마존 제쳤다…종가 기준 시총 4위로

안지영 기자

미 중부지역 강타한 폭설 폭풍

안지영 기자

박정희 대통령 업적 되새긴 뉴욕 야유회

안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