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가치만을 앞세우는 현 한국 문화에 대해 지적
지난해 한국의 합계 출산율(2022년 0.78명)을 전해 듣고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라고 말해 화제가 된 미국 교수가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지난 29일 조앤 윌리엄스(72) 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는 한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2022년 합계출산율보다 더 떨어진 현재 한국 상황에 대해 “정말 충격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큰 전염병이나 전쟁 없이 이렇게 낮은 출산율은 처음 본다”며 “숫자가 국가비상사태라고 말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합계출산율은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는 자녀 수를 말한다. 2023년 기준 0.72명이었고, 올해 합계출산율은 0.6명대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윌리엄스 교수는 출산과 양육이 누구에게나 쉽지 않은 일이지만 한국에서는 더 힘들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저도 어려웠고, 제 딸도 어려웠지만 극단적으로 긴 근무 시간이 당연한 직장 문화에서 일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도 저출산을 유발하는 이런 이유를 유지하는 한국이 이상하다”며 “일터에 늘 있는 것이 이상적인 근로자로 설계된 직장 문화와 아이를 돌볼 어른을 꼭 필요로 하는 가족 시스템은 함께 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장시간 회사에 있어야 하는 직장 문화가 결국 양육을 위해 누군가 일을 그만둬야 하는 상황까지 초래한다는 것이다.
돈의 가치를 앞세우는 한국의 문화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윌리엄스 교수는 “한국에서 아이를 갖는 건 몹시 나쁜 경력일 뿐”이라며 “물질적 성공이 매우 중요한 사회에서는 계산하게 된다. 풍요가 우선인데 여성들이 왜 그런 선택(출산)을 하겠나. 앞뒤가 안 맞는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2021년 미국의 한 여론조사 업체가 17개 선진국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요소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부분 국가가 ‘가족’이라고 답했지만, 한국만 ‘물질적 풍요’를 꼽았다.
또 출산 후 일터로 돌아온 여성을 ‘낙인’찍는 문화는 한국 경제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충고했다. 그는 “한국이 젊은 여성들을 훈련하고 엄마가 된 후 노동력에서 밀어내며 버리는 GDP(국가 총생산)를 생각하면 경제적으로도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비정규직이 된 당신 경력도 끝나고 나라 경제도 끝난다”고 우려했다.
여성이 직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연구해 온 윌리엄스 교수는 미국에서 손꼽히는 노동법 전문가다. 지난해 EBS ‘다큐멘터리 K-인구대기획 초저출생’ 프로그램에 출연해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듣고 머리를 감싼 채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라고 발언해 화제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