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ykorea
타운뉴스

‘남편은 미국, 아내는 베트남’…

 팬데믹 잠잠해지자 한국 다문화 결혼 크게 증가

지난해 팬데믹 상황이 소강상태에 접어들고 국가 간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한국의 다문화 혼인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다만, 다문화 가정 출생아 수는 팬데믹 당시 혼인 건수가 줄며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29일 한국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은 1만7428건으로 2021년보다 3502건(25.1%) 늘었다. 증가 폭으로 보면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8년 이후 최대다.
2017~2019년 매년 증가세를 보였던 다문화 혼인 건수는 코로나19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며 2020년, 2021년 각각 34.6%, 13.9% 줄었다. 그러나 이후 코로나19 영향이 잦아들며 다문화 혼인이 크게 늘어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7.2%에서 지난해 9.1%로 늘었다. 국내에서 결혼한 10쌍 중 1쌍이 다문화 부부인 셈이다.

유형 별로 보면 남편이 한국인인 다문화 혼인 비중이 66.8%, 아내가 한국인인 부부가 20.0%를 차지했다. 귀화자와의 혼인은 나머지 13.2%를 차지했다. 다문화 혼인 가정의 한국인 남녀 나이를 보면 한국인 남편 나이는 45세 이상이 31.2%, 한국인 아내는 30대 초반이 24.6%로 각각 가장 많았다. 부부간 나이 차이는 남편이 10세 이상 많은 부부 비중이 35.0%로 가장 많았다.
외국인 아내 국적을 보면 베트남이 23.0%로 가장 많았고 중국(17.8%), 태국(11.1%)이 뒤를 이었다. 외국인 남편 국적은 미국(8.0%), 중국(6.5%), 베트남(3.4%) 순이었다.
다문화 가정의 출생아 수는 지난해 1만2526명으로 전년보다 1796명(12.5%)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다문화 혼인 건수가 줄며 출생아 수도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라고 했다.

Related posts

뉴저지 추석대잔치 28일로 다시 연기

안지영 기자

백악관도 나선 ‘싱 하이밍’의 문제 발언

안지영 기자

5개월간 통신 두절됐던 ‘보이저 1호’, 반응 보였다

안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