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통령 4월 26일 방미, 최고수준 예우 받는다.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4월 26일 미국을 다시 찾는다. 이번에는 국빈 방문이다. 이번 방문에서 윤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강력한 동맹, 행동하는 동맹’을 선언할 것으로 전망된다. 4월 방미는 ‘한미동맹 70주년’을 맞는 해인 만큼 과거 70년간의 동맹의 역사를 평가하고 나아가 세계 평화와 미래의 공동 번영을 위한 미래 70년 동맹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국빈 방문에서는 지난해 5월과 11월에 열린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대북 확장억제를 비롯한 국방 안보와 공급망 위기 대응과 양국 간 경제현안 등 경제안보 이슈, 문화인적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잇단 도발과 7차 핵실험 임박이라는 한반도 안보 위기에 맞춰 양 정상은 연합방위 태세 및 확장 억제 실행력 강화 방안이 핵심 의제로 꼽힌다.
한미정상회담을 사전 조율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8일 워싱턴 한국문화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그동안 두차례 회담을 갖고 각별한 유대와 신뢰를 형성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특히 ‘강력한 행동하는 동맹’을 어떻게 구현할 지 구체적인 내용이 담긴 공동성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문(State visit) 형식 방미는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 이후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12년 만이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위 사진) 에 이어 2번째로 국빈 방문 초청을 받은 정상이 됐다.
국빈 방문은 외국 정상의 방문 형식 가운데 최고 수준의 예우다. 외국 정상의 방문 형식은 의전 형태에 따라 국빈 방문 외에 공식 방문(Official Visit), 실무 방문(Working Visit), 사적 방문(Private Visit)으로 구분된다. 미국은 국빈 방문의 연간 초청 횟수를 제한하고 있다.
미국은 국빈으로 방문하는 외국 지도자에게 정상회담뿐 아니라 의장대 사열을 비롯한 공식 환영식, 21발의 예포 발사, 주요 인사가 참석하는 국빈 만찬, 고위급 인사의 환영·환송 등 최고 수준의 예우를 제공한다. 미국은 숙소로 영빈관인 블레어하우스를 제공하고 체류 비용을 부담한다. 특히 외국 정상의 재임 기간 중 한 번만 이뤄지도록 하는 원칙이 있다. 한국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형식 방미는 모두 6차례다. 이승만 박정희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각각 한 차례씩 국빈 자격으로 미국을 다녀왔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1년 1월 취임한 이후 국빈으로 초청한 정상은 지난해 12월 마크롱 대통령뿐이다. 두 정상은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바이든 대통령 집무실 벽난로 옆에서 약 2시간을 함께 보냈다. 당시 백악관 마당에서 진행된 국빈 만찬은 정계와 재계, 연예계 등 유명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340여 명 규모로 열렸다.
윤 대통령은 방미 때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 측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미 공화당 소속인 마이클 매콜 미 하원 외교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의 의회 연설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연방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은 미 의회가 외국 정상에게 주는 최고 수준의 예우다. 윤 대통령의 미 의회 연설이 성사되면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7번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