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46 F
New York
September 20, 2024
hinykorea
명사칼럼

<김동찬 컬럼> 150년전의 분열과 통일 그리고 지금 미국은

김동찬 (뉴욕 시민 참여센터 대표)

어느날 혜성처럼 나타난 훈족(중국 한족은 흉노라고 부름)에 의해서 게르만 민족이 대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인해 서로마제국은 몰락을 하였다. 그리고 초기 중세로 넘어가면서 오늘날 유럽 지역에는 프랑크 왕국, 신성로마제국이 생겼다. 그러다가 슬라브 민족과 중앙아시아에서 서쪽으로이동한 훈족, 아바르족, 그리고 불가르족들의 유럽 이주로 민족간 수많은 전쟁이 발발하였다.

이후 본격적인 중세로 넘어가면서 수많은 왕국들이 생기고 또 그들간 끝없는 전쟁이 벌어졌다. 그리고 근대부터 20세기까지 유럽내에서의 주도권을 좋고 영국과 프랑스가 백년 전쟁을 하였고, 이어세계 제1차대전과 2차대전을 겪으면서 유럽에서의 최고 지존의 자리를 놓고 더이상 전쟁은 의미가 없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러나 유럽의 통합노력은 멈추지 않고 새로운 방식으로 시작이 되었다. 1957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서독, 이탈리아, 프랑스 6개국이 유럽 경제 공동체(EEC)를 시초로 하여 1993년 유럽 연합(EU)을 건설하였다. 그리고 7차례에 걸친 확장을 통해서 현재 유럽 연합에는 27개 국가가 가입되어 있다.

로마제국 아래 하나의 유럽이었지만 분열이 되면서 서로를 악마화 하고 수많은 상처를 주고 받게 되면서 하나의 유럽으로 봉합 되지 못하고 각자의 방식대로 문화와 역사와 언어를 발전 시켰고 결국 각자의 민족국가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느슨한 경제적 공동체의실험을 통하여 국가들간의 정치 경제 통합체인 유럽연합(European Union)으로 거듭 나면서 오늘날 유럽은 2천년전 로마제국 이후 가장 광범위한 정치 경제 통합의 유럽 국가연합으로 거듭나고 있다.
영국의 13개 식민지로 출발하여 독립전쟁으로 북미 대륙에 가장 현대화된 제도로 나라를 세운 미국은 계속적으로 원주민들과 전쟁을 통하여 영토를 확장하다가 아프리카출신 흑인 노예제도 폐지를 놓고 남부연맹이 미국연합(Confederate States of America)를 만들어 연방에서 탈퇴를 하게 되었고, 4년간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통해서 결국 남부연맹이 패배를 하였고 미국은 다시 하나의 연방으로 통일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은 크게 지역적으로 남부와 북부가 정서적으로 완전히  통합되지 못하고 있다. 진보와 보수, 인종평등과 인종차별, 낙태문제, LGBTQ, 이민문제, 분배의 문제, 그리고 사회복지 정책을 놓고 중부와 남부를 대표하는 공화당과 동북부와 서부를 대표하는 민주당으로 점점 더 분열이 가속화 되고 있다.

로마제국 몰락 이후 유럽은 분열의 시간이 길어지면서 수천년 피비린내 나는 전쟁에서 서로 지치면서 상처가 나자마자 봉합하는 것과 같은 통일의 시기를 놓치고 각자의 방식으로 상처가 아물고 서로의 입장과 존재를 인정하고 경제를 중심으로 느슨한 통합 방식인 연합국가를 구성하였다. 반면에 미국은 연방이 분열 되자마자 분열의 당사자들이 바로 통일 전쟁을 통하여 상처를 강제적으로 봉합 하면서 분열된 연방국가의 통일을 할수 있었다.

한반도도 분단이 되자 마자 전쟁이 일어났지만 봉합을 통한 상처의 회복과 같은 통일은 되지 못하였고 세대가 두번 바뀌는 70년이 흘렀고 분단의 당사자들도 거의 사라졌다. 그리고 전혀 다른 서로의 방식으로 상처가 아물었다. 미국처럼 분단 당사자들에 의한 통일보다는 장기적으로 전후 세대들에 의한 화합과 통합 노력에 의한 유럽연합과 같은 방식이 하나의 모델이 될수 있지 않을까  한다.
그런데 미국이 남북전쟁으로 통일이 되어 상처가 봉합 되었다고 생각했지만 150년이 흐른 지금 그 상처가 완전히 아물지 못하고 다시 재발되고 있다는 것을 지난 3년전 대통령 선거에서 확인 하였다.

이걸 그대로 방치한다면 예상치 못했던 불행이 닥칠수 있다. 그래서 지금 미국에서는 분열을 부추기는 정치인이 아니라 통합을 이야기 하고, 그 대안을 내놓는 정치인이 절실하다. 9월 노동절 이후부터 내년도 대통령 선거를 앞둔 각당의 후보들이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낼 것인데 유권자로서 이점을 명심하고 정치지도자들을 지켜 보아야 할것이다.

 

Related posts

<김동찬 컬럼> 맹목(盲目)이 증오(憎惡)를 만나면…

안지영 기자

<기자 노트북> 진정한 용서와 평화에 대한 유감

안지영 기자

<김동찬 컬럼> 人無遠慮, 必有近憂(인무원려 , 필유근우)

안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