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ykorea
타운뉴스

尹 첫 형사 재판서 100분 강변…”법리 안 맞다” vs “의원 끌어내 지시”

  검찰 향해서 “새빨간 거짓말”·”공소장 난삽하다”

조성현 수방사 경비단장·김형기 특전사 대대장 “의원 끌어내라 지시 있었다”

다음 기일 21일 오전 10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 자신의 첫 형사재판에 출석해 약 100분 동안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를 부인하는 진술을 쏟아냈다. 계엄은 몇 시간만에 끝난 ‘계몽령’이었다고 주장했고, 검찰을 향해서는 “공소장이 난삽하다”거나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발언 수위를 높였다.
그러나 증인으로 출석한 군 사령관들은 ’12·3 계엄’ 당일 국회에서 ‘정치인 끌어내기’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하며 이른바 ‘평화적 계몽령’ 주장을 무색하게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직접 검찰이 언론을 고려해 자신에게 불리한 증인을 우선 신청했다며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반발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는 1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20분까지 417호 형사대법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 1차 공판기일을 진행했다.

공판기일은 형사재판에서 쟁점과 증거 등을 정리하는 재판 준비절차를 마친 후 이어지는 본격적인 심리 단계다. 본격적인 내란 혐의 첫 재판인 셈인데, 점심과 도중 휴정시간을 제외하면 5시간50여분 동안 공판이 이어졌다.

공판의 첫 단계인 모두절차부터 윤 전 대통령은 마이크를 직접 잡고 목소리를 높였다. 검은 양복에 붉은 넥타이를 매고 머리를 2대 8 가르마로 정돈한 채 출석한 그는 93분 동안 직접 혐의를 부인했다. 사과나 반성은 전혀 없었다.

이날 앞서 이찬규 부장검사(사법연수원 34기)를 비롯한 11명의 검사들이 1시간7분 동안 윤 전 대통령이 받는 내란 수괴 혐의 공소사실을 설명했다. 검찰은 그를 피고인으로 부르며 “헌법과 법률의 기능 소멸을 목적으로 비상계엄을 대한민국 전역에 선포했다”며 “검사는 ‘내란 우두머리'(혐의)에 형법 87조를 적용해 기소했다”고 밝혔다.

그러자 윤 전 대통령은 검찰의 발표자료(PPT)를 보여 달라면서 직접 반박에 나섰다. 발언이 길어지자 재판부가 점심 이후 20분을 더 부여했는데, 그는 17분을 더 썼다.

윤 전 대통령은 “몇 시간 만에 비폭력적으로 국회의 해제 요구를 즉각 수용해서 (계엄을) 해제한 사건을, 조서를 공소장에 박아 넣은 듯한 이런 구성을 내란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참 법리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의 발언 수위는 파면 전보다 더 높아졌고 표현은 거칠어졌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나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을 통해 “누군가를 체포하라 이야기했다는 것은 전부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말했다. 재판 말미에는 검찰 후배들에게 “공소장이 난삽하다”고도 했다.

이어진 공판에서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대령)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중령)은 검찰 측 증인으로 나와 윤 전 대통령에게 불리한 진술을 했다.

김 중령은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 4일 오전 00시30분께 상급자인 이상현 특전사 1공수특전여단장으로부터 ‘담을 넘어 국회 본관에 가서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시인했다. 검사가 김 중령이 쓴 작전일지를 제시하며 이같이 묻자, 김 중령은 “그렇다”고 답했다.

김 중령은 경내에 진입한 이후 이 여단장으로부터 추가 지시를 받았다면서 “오전 0시38분에 통화해 ‘의결하려고 하니 문을 부셔서라도 끄집어내라, 유리창이라도 깨라’고 몇 차례 지시했다”는 증언을 내놓기도 했다.

조 대령도 계엄 당일 오전 0시31분~1시께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으로부터 ‘본청 내부에 진입해 의원을 외부로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는지 묻자 “그렇다” 답했다.

윤 전 대통령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그는 “오늘 같은 날 헌재에서 이미 다 신문한 사람을 기자들도 와 있는데 자기들 유리하게 나오게 한 건 증인신문에 있어서 다분히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도 말했다.

윤 전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공판 종료 후 퇴정하면서 “오늘 이뤄진 두 명의 증인은 계엄 사무에 있어서 최일선에 종사했던 사람이고 대통령과 직접 연관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법률상 전문증거(전해진 말)로서 증거로 쓸 수 없는데 이들을 가장 먼저 조사했다는 이야기다.

재판부는 두 증인에 대한 반대신문 기회를 윤 전 대통령 측에 부여했지만, 윤 전 대통령이 “다음 기일 때 하겠다”고 답하면서 다음 기일로 미뤘다. 재판부는 오는 21일 오전 10시 두 증인을 다시 불러 신문을 이어갈 예정이다.

Related posts

한인여성 버겐카운티 경찰관 탄생

안지영 기자

‘티끌 모아 태산’ 이게 되네…동전 주워 천만달러 벌었다

안지영 기자

“뉴스 미디어가 정치적 양극화를 증가시키고 있다”

안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