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포브스 “한국 주식 투자 줄여야”
각국 한국과 예정해 뒀던 외교 일정 중단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외신들은 그 경제적 대가를 5100만 국민이 할부로 치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8 일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 수석 기고자 윌리엄 페섹은 이날 칼럼에서 이번 계엄 선포를 ‘윤석열의 절박한 스턴트 쇼’라고 규정하고 이것이 ‘한국 국내총생산(GDP) 킬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대신 잔여 임기를 잘 채웠다면 한국의 상황이 더 나았겠지만, 결국 “이기적인 계엄 선포의 대가를 5100만 한국인이 오랜 기간 할부로 갚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세계 투자은행(IB)들의 경고도 이어지고 있다. 5일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수출 둔화와 D램 가격 하락이 이어져 한국 기업의 실적 하향 사이클이 지속될 수 있다”며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기초 여건이 당분간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는 “정책 환경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탄핵 가능성, 대통령 교체가 경제 전망에 대한 가계와 투자자들의 우려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내수·투자 활동의 하방 위험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내년 전망에서 한국 주식 투자액을 크게 줄여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던 홍콩계 CLSA는 계엄 사태 이후 “해당 조정을 며칠 앞당긴다”며 사실상 한국 주식을 빨리 처분하라는 취지의 조언을 했다.
위 사진은 9일 코스피가 전 거래일(2428.16)보다 67.58포인트(2.78%) 내린 2360.58에 마감한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는 모습.
이처럼 12·3 내란 사태로 인한 엄청난 경제·외교 리스크가 현실화됐다. 9일 코스피 지수는 3% 가까이 급락했고, 미국의 2기 도널드 트럼프 정권 출범을 앞둔 중차대한 시기에 정상적인 외교를 할 수 없게 되며 나라 전체가 손발이 묶인 모양새가 됐다.
12·3 내란 사태 직후 국제사회가 보인 첫 반응은 한국과 예정해 뒀던 외교 일정 중단이었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가 5~7일로 예정됐던 방한을 취소했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역시 내년 1월께 준비하고 있던 한국 방문에 대해 “아무것도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발 물러섰다. 4~5일 예정됐던 한-미 4차 핵협의그룹(NCG) 회의도 돌연 연기됐다. 국제사회가 2021년 2월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나 2022년 8월 미군 철수로 다시 정권을 잡게 된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부를 상대해주지 않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 지금 대한민국을 향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