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ykorea
타운뉴스

비상계엄 청구서…”5천만 韓 국민이 할부로 치를 것”

 미국 포브스 “한국 주식 투자 줄여야”

각국  한국과 예정해 뒀던 외교 일정 중단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외신들은 그 경제적 대가를 5100만 국민이 할부로 치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8 일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 수석 기고자 윌리엄 페섹은 이날 칼럼에서 이번 계엄 선포를 ‘윤석열의 절박한 스턴트 쇼’라고 규정하고 이것이 ‘한국 국내총생산(GDP) 킬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대신 잔여 임기를 잘 채웠다면 한국의 상황이 더 나았겠지만, 결국 “이기적인 계엄 선포의 대가를 5100만 한국인이 오랜 기간 할부로 갚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세계 투자은행(IB)들의 경고도 이어지고 있다. 5일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수출 둔화와 D램 가격 하락이 이어져 한국 기업의 실적 하향 사이클이 지속될 수 있다”며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기초 여건이 당분간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모건스탠리는 “정책 환경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탄핵 가능성, 대통령 교체가 경제 전망에 대한 가계와 투자자들의 우려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내수·투자 활동의 하방 위험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내년 전망에서 한국 주식 투자액을 크게 줄여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던 홍콩계 CLSA는 계엄 사태 이후 “해당 조정을 며칠 앞당긴다”며 사실상 한국 주식을 빨리 처분하라는 취지의 조언을 했다.

위 사진은 9일 코스피가 전 거래일(2428.16)보다 67.58포인트(2.78%) 내린 2360.58에 마감한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는 모습.

이처럼  12·3 내란 사태로 인한 엄청난 경제·외교 리스크가 현실화됐다. 9일 코스피 지수는 3% 가까이 급락했고, 미국의 2기 도널드 트럼프 정권 출범을 앞둔 중차대한 시기에 정상적인 외교를 할 수 없게 되며 나라 전체가 손발이 묶인 모양새가 됐다.

12·3 내란 사태 직후 국제사회가 보인 첫 반응은 한국과 예정해 뒀던 외교 일정 중단이었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가 5~7일로 예정됐던 방한을 취소했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역시 내년 1월께 준비하고 있던 한국 방문에 대해 “아무것도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발 물러섰다. 4~5일 예정됐던 한-미 4차 핵협의그룹(NCG) 회의도 돌연 연기됐다. 국제사회가 2021년 2월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나 2022년 8월 미군 철수로 다시 정권을 잡게 된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부를 상대해주지 않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 지금 대한민국을 향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Related posts

추방 위기 컬럼비아대 한인학생 추방·구금 중단 명령

안지영 기자

김종훈 ‘유리콤’회장, 국립기술혁신 메달 수상

안지영 기자

연방대법, 먹는 낙태약 접근권 제한 소송 만장일치로 기각

안지영 기자